[대구=세계타임즈 한성국 기자] 대구광역시의회 김혜정 의원(경제환경위원회, 북구3)이 10월 16일(금) 열리는 제278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행정기록과 민간의 기록까지 포괄하여 지역전체의 기록물을 관리・조정하는 컨트롤 타워로써의 대구기록원 건립을 촉구한다.
김혜정 의원은 “공공기록물은 역사적 기록과 증거가 된다는 점에서 책임 행정을 구현하게 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해 지방자치의 발전을 견인하며, 미래에는 지역의 사회문화적 기록유산이 된다는 점에서 단순한 기록물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기록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역의 기록물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로써의 대구기록원 건립을 요구한다.
김 의원은“2007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지방 공공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광역시‧도에도 영구기록물 관리기관으로써의 지방기록원 설치가 의무화되었음에도, 아직까지 대구시에 기록원이 설치되지 않은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시의 문서고는 이미 포화상태이다. 신청사부지 또는 도청 후적지 등 가능한 장소를 모색하여 조속히 대구기록원 건립 부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이어 김혜정 의원은 “기록원은 행정기관의 기록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 인물, 장소에 관한 기록 등 민간의 다양한 기억도 함께 채워나가야 하며, 문화계, 예술계, 체육계, 산업계 등을 비롯한 우리지역 각계각층 모든 시민이 아키비스트*가 되어, 지역의 역사를 기억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할 예정이다.
* 아키비스트(archivist). 지속적 보존 가치를 지닌 기록울 관리하는 전문가
한편, 지방기록원은 현재 서울시와 경상남도에서 운영 중에 있으며, 대구시에서는 2019년 ‘대구기록원 건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총사업비 410억원, 지상4층, 지하2층 규모의 기록원을 건립하기로 하였으나, 현재까지 부지도 결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