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인쇄를 위한 사무실에 건설사, 회계사, 경영컨설팅사 입주
- 매년 8억의 시비 중 7억원이 인건비, 시설 관리비로 집행되고, 출판․인쇄기업을 위한 지원금은 5천만원 뿐
[대구=세계타임즈 한성국 기자] 대구시의회 김성태 의원(건설교통위원회)은 11월 29일(목) 열린 제263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달서구에 위치한 대구 출판산업지원센터의 허술한 운영에 대해 지적하고 지역 출판.인쇄사업 발전을 위한 4가지 대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문화의 발달로 인해 전국적으로 출판.인쇄 사업은 점점 쇠퇴해 가고 있다. 대구시는 쇠락해가는 지역 출판.인쇄 산업을 견인하기 위해 지난 2010년 대구출판인쇄정보밸리를 조성하고 2017년 226억원을 들여 대구출판산업지원센터를 달서구 성서지역에 조성하였다.
대구출판산업지원센터의 설립목적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영화, 게임, 웹툰 등의 기초가 되는 출판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 지역 문화콘텐츠 산업발전의 본보기가 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시점의 대구출판산업지원센터는 현재 지역출판.인쇄산업을 견인하거나 지역출판사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구시는 매년 시비 8억원을 출판지원센터에 투입하고 있는데, 그중 7억원이 건물관리비와 인건비에 사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1억원 조차 심사비, 예비비를 제외하면 지원 사업비는 단 5천9백만원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판.인쇄 기업을 위한 입주공간 현황을 살펴보니, 2018년 현재 건설사, 회계사, 경영컨설팅사 등 외적으로 출판.인쇄사업과 전혀 관련 없는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구시의회 김성태 의원은 “지역 출판.인쇄산업을 견인하고 지원하여야 하는 대구출판산업지원센터는 지역 출판.인쇄 기업들을 홀대하고 있으며, 226억원이나 들여 건물을 조성하였지만 당초 정체성과 전혀 관련 없이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출판.인쇄기업에게 제공되어야 할 사무실의 월 임대료는 최소50만원부터 120만원까지 요구하고 있어 영세한 출판.인쇄 기업들에게는 그림에 떡과 같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구출판산업 지원센터는 비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1층에 위치한 북키즈(어린이 도서관)의 1일 이용객은 10명이 되지 않으며, 건물 내 사용되지 못하고 비어있는 공간도 매우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번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출판산업지원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한 김성태 의원은 지역 출판산업 발전을 위한 4가지 대안도 제안하였다.
첫째, 대구시 출판.인쇄 기업을 위한 대구만의 출판 특화 사업 추진
둘째, 출판.인쇄 기업을 위해 조성한 사무실을 2년간 무상제공
셋째, 출판산업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작가초청회, 독서토론회 개최
넷째, 대구 우수서적 20선정과 구매 배포 사업이 그것이다.
김성태 의원은 “출판.인쇄사업의 발달은 지역 문학발전의 기본이 됨과 동시에, 문화산업 전반을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구시는 출판산업지원센터의 설립목적에 대해 다시 돌아보고, 지역 출판.인쇄산업을 진정성 있게 지원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라고 이야기 했다.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