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광주=세계타임즈 이은정기자]광주시에서 의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스마트행정 활성화 정책의 운영상 난맥상 문제가 지적됐다.
광주시의회 김동찬 의원(북구5)은 24일 열린 기획조정실소관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광주시의 ‘스마트행정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해온 “모바일 광주앱’ 정책이 운영부서의 저조한 참여로 인해 당초 취지가 무색하게 행정의 실효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스마트행정 활성화를 위해 당초 40대의 모바일 기기를 운영부서에 보급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 관리하도록 하였으나, 10대의 보급에 그쳤으며 그조차도 기존 총괄부서의 6대를 빼고 참여운영부서가 4개 부서에 불과하다”며 “이는 정책시행前 면밀한 계획을 세우지 않은 전형적인 사례”라고 질타했다.
또한, 광주시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모바일 앱과 웹이 20개나 달해, 중복 프로그램 난립에 따른 저조한 활용도와 참여율 문제가 제기될 수 있고, 그로인해 발생할 정책 주체간의 운영상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며 “운영부서의 참여율을 제고하여, 서울, 부산, 대구 등과 같이 부서별 자체적 추진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동찬 의원은 “정책추진에는 실효성이 담보되고, 면밀한 준비와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며 “초기 정책 시행단계에서 발생한 운영상 미비점들을 고려하여, 내실있는 제도운영을 해주길” 당부했다.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