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인상. 전문가들, 앞으로 연말 2.75∼3.00%까지 오를 가능성 있어

백진욱 기자 / 기사승인 : 2022-08-25 15:02:44
  • -
  • +
  • 인쇄

 

 

[세계타임즈 백진욱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25%에서 2.5%로 올렸다. 기준금리가 0.25%p 인상 된 상황에서 한미 기준금리는 다시 같아졌다. 2분기 기준 가계대출이 1758조원에 육박한 상황에서 대출자들의 부담은 더 커지게 됐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급등에 따른 압력이 당장 해소되기 어렵고 미국이 계속 한국과 기준금리 격차를 벌리면 한은도 앞으로 연내 2.75%에서 3.00%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날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에서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7%에서 2.6%로 0.1%포인트 낮췄다. 특히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4%에서 2.1%로 내렸다. 중국 경기 둔화 등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감소와 민간소비 둔화 등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5%에서 5.2%로 올렸다. 이는 1998년(9%) 이후 최대치로, 물가안정목표제를 시행한 1998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전망치다.

한은이 추가 인상에 나선 건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CPI·전년동월대비)는 6월(6.0%)과 7월(6.8%) 두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향후 1년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4.3%로 역대 최고였던 7월(4.7%)보다는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4%대를 웃돈다. 물가 '피크 아웃(정점 통과)' 기대에도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낸 이유다.

한은이 올해 남은 두 번의 금통위에서 한 번 정도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특히 한은이 예상한 대로 물가 정점이 3분기 말, 4분기 초 확인되면 물가보다 경기 우려가 선순위로 올라설 수 있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이달 4.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역대 최고였던 7월(4.7%)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반면 경기 침체 우려는 커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 경기가 둔화하면서 하반기 수출 전망이 어두운데다, 물가 오름세·금리 인상이 겹쳐 소비 증가 여력도 크지 않은 상황이다.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