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얀센 다잘렉스®주, 다발골수종 1, 2차 병용요법 치료제로 허가

조원익 기자 / 기사승인 : 2019-10-01 12:17:53
  • -
  • +
  • 인쇄

 

▲다잘렉스®주 (왼쪽) 100mg/5ml | (오른쪽) 400mg/20ml (Darzalex, 성분명 다라투무맙)


 

 존슨앤드존슨 제약부문 법인인 얀센은 다잘렉스®주(성분명 다라투무맙)가 지난 8월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의 1차 및 2차 병용요법 치료제로 허가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허가 받은 적응증은 총 3개로 ▲조혈모세포이식이 적합하지 않고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다발골수종 환자의 보르테조밉, 멜팔란 및 프레드니솔론과의 병용요법(DVMP) ▲이전에 한 가지 이상 치료를 받은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과의 병용요법(DRd) ▲이전에 한 가지 이상 치료를 받은 다발골수종 환자를 위한 보르테조밉 및 덱사메타손과의 병용요법(DVd)이다. 이로써 다잘렉스®주는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다발골수종 환자부터 기존 치료 방법에 실패한 환자에게까지 다른 치료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다잘렉스®주는 다발골수종에 최초로 허가된 인간 단일클론항체이며, 주성분인 다라투무맙은 다발골수종 세포에 과발현 되어있는 표면 당단백질인 CD-38을 인지하여 직접 결합한다. 이번 적응증 확대는 다잘렉스®주 병용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3가지 임상연구를 근거로 이뤄졌다.

 조혈모세포이식이 적합하지 않고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배정, 라벨공개, 활성대조군 3상 임상시험인 ALCYONE(MMY3007)에서 18개월의 분석시점을 기준으로 보르테조밉, 멜팔란, 프레드니솔론과 다잘렉스®주 병용 투여군(DVMP)의 무진행생존율은 71.6%로 보르테조밉과 멜팔란, 프레드니솔론 투여군(VMP)의 무진행 생존율 50.2% 대비 질환의 진행 및 사망위험이 5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hazard ratio, 0.50; 95% confidence internal, 0.38-0.65; p<0.001).

 

 또한, 대조군(VMP)의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이 18.1개월인 것에 비해 다잘렉스®주 병용 투여군(DVMP)은 분석 시점에도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다(p<0.001).

 전체반응률(ORR) 또한 다잘렉스®주 병용 투여군(DVMP)은 대조군(VMP)의 73.9%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p<0.001), 엄격한 완전반응률을 포함한 완전반응률 이상의 반응률은 대조군(VMP)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 (42.6% vs 24.4% P<0.001). 임상기간 동안 다잘렉스®주 병용 투여군에서 주입관련반응과 폐렴을 포함한 일부 감염이 나타났지만, 주요 이상 반응은 일반적인 화학 요법 치료와 비슷한 수준의 내약성을 보였다.

 다잘렉스®주는 이전에 한 가지 이상 치료를 받은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무작위 배정, 공개라벨, 3상 임상시험인 POLLUX(MMY3003)와 CASTOR(MMY3004)에서 각각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Rd), 또는 보르테조밉 및 덱사메타손(Vd)과 병용 투여한 결과, 12개월 무진행생존기간이 대조군 대비 뚜렷한 향상을 보였으며 (83.2% vs 60.1%, 60.7% vs 26.9%) 질병진행 및 사망위험이 대조군 대비 각 임상시험에서 63% 및 61%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다잘렉스®주가 추가된 병용투여군(DRd, DVd)이 기존 요법 대비 전체 반응률(92.9% vs. 76.4% p<0.001, 82.9% vs. 63.2%, p<0.001) 및 완전반응률과 엄격한완전반응률의 합계(43.1% vs. 19.2%, p<0.001, 19.2% vs. 9.0%, p=0.001) 모두 높았으며 매우 좋은 부분반응률 또는 매우 좋은 부분반응률을 포함한 더 높은 반응률에서도 깊은 반응을 보였다(75.8% vs. 44.2%, p<0.001, 59.2% vs: 29.1%, p<0.001).

 두 임상시험에서 다잘렉스®주가 추가된 병용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더 높은 빈도수로 주입관련반응이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1-2 등급의 반응으로 첫 주입단계에서 나타났다. 또한 병용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더 높은 빈도수의 일부 혈액학적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으나, 3등급 이상의 감염 및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률은 대조군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제니 정 한국얀센 대표이사는 “이번 다잘렉스®주 적응증 확대로 병용치료가 필요한 다발골수종 환자들에게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앞으로도 한국얀센은 다발골수종 환자들의 더 나은 치료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형질세포(Plasma Cell)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난치성 혈액암으로, 국내에는 약 7000여 명의 다발골수종 환자가 있다. 다잘렉스®주는 지난 2017년 11월 프로테아좀억제제와 면역조절제제를 포함해 적어도 세 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를 위한 단독요법 치료제로 국내에서 허가 받은데 이어 2019년 4월 급여 인정받았다. [세계타임즈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조원익 기자 조원익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