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필요성 학술적 뒷받침
박용철 군수 “국회 예결위 최종 의결까지 최선 다할 것”

[강화군 세계타임즈=심하린 기자]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21일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강도(江都) 시기 고려와 동아시아 세계’를 주제로 ‘인천역사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강화군이 인천광역시 및 한국중세사학회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지난 7월과 9월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와 10월 강화군에서 열린 포럼에 이은 네 번째 논의의 장이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1232년부터 1270년까지 39년간 강도시기를 중심으로 고려와 동아시아 주변 국가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인천시와 강화군이 추진 중인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필요성을 학술적으로 조명했다.
학술회의는 기조 발표 ‘강도 시기 고려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시작으로, 총 다섯 편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1부의 ▲첫 번째 발표는 ‘강도(江都) 연구와 역사문화환경 기반 국립박물관의 가능성’을 주제로 현장 중심의 국립강화박물관 운영 모델을 논의했으며 ▲두 번째 발표는 ‘강도 시기 고려청자의 출토 현황과 성격’을 분석했다.
2부의 ▲세 번째 발표는 ‘강도 시기 최씨정권의 권력 운영’에 대해 다뤘으며, ▲네 번째 발표로 ’강도 시기 여몽전쟁의 요인과 영향‘을 주제로 13세기 고려와 몽골 간 장기 전쟁의 배경 및 전개, 그리고 그 역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마지막으로는 ▲’남송·베트남·가마쿠라 막부·동진과의 대외관계‘를 통해 강도 시기 고려가 동아시아 국가와 맺은 외교 관계를 분석했다.
모든 발표 이후에는 김재홍(前 국립중앙박물관장, 現 국민대학교) 교수의 주도로 종합 토론이 진행됐으며,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강도 시기 고려의 역사적 의미와 국립박물관 운영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은 민족의 자긍심을 되찾고 지역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이라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박물관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 용역비가 통과된 성과에 이어 12월 국회 예산결산위원회의 최종 의결까지 역사적 과업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경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